실존주의 심리치료의 역사 및 발전
실존주의 심리치료는 삶의 중요한 주제와 삶에 대한 태도를 다루는 치료법이다. 실존주의 심리치료는 정해진 모형이나 구체적인 기법이 아닌, 철학적인 접근을 지향한다. 제1, 2차 세계 대전 이후, 사람들은 불안과 상실, 회의에 빠져들었고, 인간의 주체성 회복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19세기 쇠렌 키르케고르, 프리드리히 니체, 마르틴 하이데거, 장 폴 사르트르, 마르틴 부버 등 많은 철학자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들이 고안해 낸 개념과 인간에 대한 철학적 이해를 토대로 다양한 학파로 발전하였다. 얄롬은 실존주의에 대한 초기 철학자들의 영향을 인정하며, 이들 모두 개인의 사고를 이끌어 내는 주요한 주제들에 기여하였음을 발견하였다. 실존주의 심리치료는 미국과 영국에서 다소 다른 형태로 발전하였다. 영국의 실존..
2024. 4. 11.
임상 면담 시 정신상태의 평가
내담자의 증상을 올바로 이해하고 진단분류를 하기 위해서 내담자의 정신상태를 정확하게 평가해야 한다. 잘못된 진단이 장애의 본질을 올바로 인식하지 못하게 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게 할 수도 있기에 진단을 내리는 데는 항상 신중해야 한다(고정봉, 2000). 정신상태의 평가에는 일반적 외모, 면담자에 대한 태도, 정신운동성 기능, 감정과 정서, 불안, 언어와 사고, 지각의 혼란, 지남력, 현실검증력 등이 포함된다(김재환 외, 2014;민성길, 2011). 1. 일반적 외모 일반적 외모의 평가는 내담자의 얼굴 표정, 눈빛, 목소리, 복장, 자세와 태도 등을 알아보는 것이다. 외모가 단정한지, 지저분한지, 얼굴 표정이 어두인지, 밝은지, 긴장되어 있는지, 굳어 있는지, 편안한지, 눈빛이 무서운지, 목소리가..
2024. 4.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