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77

실존주의 심리치료의 역사 및 발전 실존주의 심리치료는 삶의 중요한 주제와 삶에 대한 태도를 다루는 치료법이다. 실존주의 심리치료는 정해진 모형이나 구체적인 기법이 아닌, 철학적인 접근을 지향한다. 제1, 2차 세계 대전 이후, 사람들은 불안과 상실, 회의에 빠져들었고, 인간의 주체성 회복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19세기 쇠렌 키르케고르, 프리드리히 니체, 마르틴 하이데거, 장 폴 사르트르, 마르틴 부버 등 많은 철학자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들이 고안해 낸 개념과 인간에 대한 철학적 이해를 토대로 다양한 학파로 발전하였다. 얄롬은 실존주의에 대한 초기 철학자들의 영향을 인정하며, 이들 모두 개인의 사고를 이끌어 내는 주요한 주제들에 기여하였음을 발견하였다. 실존주의 심리치료는 미국과 영국에서 다소 다른 형태로 발전하였다. 영국의 실존.. 2024. 4. 11.
인간중심치료 역사, 발전 및 대표학자 1. 역사 및 발전 인간중심치료는 심리학의 대표적인 세 가지 접근 중 하나인 인본주의 접근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인간의 본성을 기계론적으로 바라본 행동주의와 결정론적으로 바라본 정신역동과 달리 인본주의 접근은 인간이 가진 장점과 개인에 중점을 둔다. 이와 관련된 심리치료 및 이론으로는 칼 로저스의 인간중심치료, 매슬로의 욕구위계이론, 롤로 메이의 실존치료 등이 있다. 이 장에서는 칼 로저스의 인간중심치료를 중심으로 인본주의의 역사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1940년대는 인간중심치료의 출발점으로서 '비지시적 상담'이라고 불리기 시작했다. 비지시적 상담은 프로이트(Freud)의 전통적인 정분석 접근과 지시적 상담에 대한 반발로 등장했다. 상담자가 상담 장면에서 주도성을 가져야 한다고 보았던 지시적 상담과 .. 2024. 4. 11.
변증법행동치료의 핵심치료전략 및 치료체계 변증법행동치료(Dialectical Behavior Thrapy: DBT)는 미국의 심리학자 마샤 리네한(Martsha Linehan)이 '살 만한 삶(life worth living)'을 위해 개발한 치료체계로 변증법 철학, 인지행동치료의 원리, 그리고 선불교 영성 훈련의 가르침에 기반을 두고 있다. 초기 DBT는 자살 및 유사 자살 행동을 완화하는 데 초점을 두어 개발되었는데, 자살 행동이 발생하는 이유는 삶이 살 만하지 못하기 때문이며, 삶이 힘든 사람에게 단지 죽지 말라고 하기보다는 삶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주어야만 살아갈 수 있다고 본 셈이다. 1990년대 시작 초창기 효능 연구는 이러한 자살 및 유사 자살 행동을 보이는 경계성 성격장애 진단 환자를 통해 밝혀지기 시작하였다. 최근에는 전반적 정.. 2024. 4. 11.
정신역동치료 과정 정신역동치료는 내담자가 자기의 무의식을 이해하여 이제부터 무의식적인 욕구나 갈등을 벗어나 현실에 잘 적응하도록 돕는 것이다. 내담자는 치료를 통하여 어린 시절의 부모 등 대인관계에서 비롯된 자신의 증상과 갈등에 대한 무의식적 의미를 자각하고 부적절한 방어기제를 점차 사용하지 않게 된다. 치료자는 지금 내담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무의식적 내용을 탐색하고 이해하면서 이해한 바를 내담자와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해석한다. 해석을 통해 내담자는 더 이상 불필요한 곳에 자신의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지금 자기가 할 수 있는 일, 해야 할 일에 집중하게 된다. 치료 과정은 초기, 중기, 종료기로 구분할 수 있다. 초기는 내담자가 전이 현상이 자신에게 존재함을 절실히 깨닫게 되는 시기까지이며, 중기 단계는 전이와 저.. 2024. 4. 11.
임상 면담 진행 과정 면담의 진행은 초기, 중기, 종료기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초기에는 라포를 잘 형성해야 한다. 중기에서는 경청과 질문 등으로 필요한 정보를 얻는다. 종료기에는 면담을 마무리하면서 부족한 점에 대해 정보를 보완하고 내담자에게 감사를 표현한다. 1. 임상면담 초기 과정 초기 과정에서는 내담자가 편안한 마음으로 면담에 임하도록 한다. 내담자를 진실하게 대하면서 존중하고 내담자의 감정을 공감하면 라포가 잘 형성된다. 첫 시간에는 면담자가 자신을 소개하면서 "오늘 날씨가 따스하네요!"와 같이 중립적인 주제로 이야기를 시작한다. 또 "면담을 받기 위하여 기다리시는 데 지루하지 않으셨나요?" 등을 물어보고 대화한다. 처음에는 내담가 부담을 느끼지 않는 주제로 시작하면서 점차적으로 면담자가 알고 싶은 주제로 진행한다... 2024. 4. 11.
임상 면담 시 정신상태의 평가 내담자의 증상을 올바로 이해하고 진단분류를 하기 위해서 내담자의 정신상태를 정확하게 평가해야 한다. 잘못된 진단이 장애의 본질을 올바로 인식하지 못하게 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게 할 수도 있기에 진단을 내리는 데는 항상 신중해야 한다(고정봉, 2000). 정신상태의 평가에는 일반적 외모, 면담자에 대한 태도, 정신운동성 기능, 감정과 정서, 불안, 언어와 사고, 지각의 혼란, 지남력, 현실검증력 등이 포함된다(김재환 외, 2014;민성길, 2011). 1. 일반적 외모 일반적 외모의 평가는 내담자의 얼굴 표정, 눈빛, 목소리, 복장, 자세와 태도 등을 알아보는 것이다. 외모가 단정한지, 지저분한지, 얼굴 표정이 어두인지, 밝은지, 긴장되어 있는지, 굳어 있는지, 편안한지, 눈빛이 무서운지, 목소리가.. 2024. 4. 11.
반응형